삼복더위를 견딜 것이냐, 전기세 폭탄을 맞을 것이냐, 이것이 문제로다. 여기 고물가 시대의 햄릿들에게 주어진 해결책이 있다. 전기도 아끼고 전기요금도 낮추는 “에너지 캐시백”. 어떻게 신청하고 얼마나 아낄 수 있는지 지금 바로 알아보시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에너지 캐시백이란?
한전전력공사(한전)에서 시행하는 에너지 절감프로그램으로 전기 사용량을 줄이면 절감률에 따라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프로그램으로 국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하여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전기요금 부담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2022년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신청대상 및 신청제외 대상
신청대상
주택용(가정용)전기를 사용하는 고객이 주민등록상의 주소지에 대하여 신청가능 합니다.
신청제외 대상
- 전기요금을 관리비에 포함하여 납부하는 아파트 중 사용 전력량 정보가 미제출된 고객
- 신규 전기사용 등으로 직전 1개년 동월분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
- 한전이 시행하는 타 에너지 절약 프로그램 참여 고객
신청방법 및 신청기한
신청방법
주민등록상의 신청할 주소지의 구성원이 온라인신청으로 가능합니다.
- PC에서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캐시백” 검색 후 회원가입 및 신청
- 모바일 앱 “한전:ON” 다운로드 후 회원가입 및 신청
- 한전 고객센터(☏123)문의하여 신청경로 문자로 수신 후 가입
신청기한
- 주택용(가정용)전기를 사용하는 고객 : 별도의 신청기한이 없습니다.
※ 신청일을 포함하는 월분부터 캐시백이 산정되므로 빠르게 신청할 수 이득입니다.
캐시백 지급기준 및 산정방법
캐시백 지급기준
2가지 방식으로 캐시백을 제공합니다. 조건을 모두 달성했다면 기본 ·차등 캐시백을 중복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1. 기본캐시백
- 최소절감률 3%와 동일지역 참여자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절감량 1kWh당 30원을 지급합니다.(단, 절감률은 30% 한도로 제한)
2. 차등캐시백
- 동일지역 참여자의 평균절감률과 상관없이 절감률 5% 이상 달성 시 구간별로 1kWh당 30~70원을 차등 지급합니다.(단, 절감률은 30% 한도로 제한)
캐시백 산정방법
- 절감량(kWh) =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 절감활동기간의 사용량
- 절감률(%) = 해당기간 절감량 ÷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 100
- 참여자 평균절감률 = (동일 지역 참여자의 해당기간 절감량 합계/동일 지역 참여자의 과거 2개년 동일기간 평균 사용량 합계) × 100
※ 과거 1개년 사용전력량만 있을 경우 1개년 사용전력량을 기준으로 산정
캐시백 지급방법
절감량, 절감률, 캐시백 조건 달성여부 등을 바탕으로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달 전기요금에서 바로 차감 적용 됩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만원 공연 프리패스~아직 신청안하셨어요? 서울청년문화패스 신청하기 (0) | 2023.08.12 |
---|---|
청년 프리랜서 플랫폼 종사자 목돈마련 지원 신청기간, 신청대상, 신청방법 (0) | 2023.08.11 |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신청대상, 대출한도, 금리, 이용기간 (0) | 2023.08.10 |
청년취업사관학교 교육생 모집, 기업 연계 과정 수료생 60% 채용 확정 (0) | 2023.08.09 |
2023년 서울런 4050 직업교육경비지원사업, 1인당 60만원 교육경비 첫 지원 (0) | 2023.08.09 |